![]() |
↑↑ 광주광역시, ‘광주형일자리 협업팀’ 확대 운영 |
광주시는 지난해부터 광주형일자리 성과물 ‘캐스퍼’가 본격 생산됨에 따라 올해도 광주형일자리 협업팀을 매월 1회 지속적으로 운영키로 하고, 2월 첫회의를 시작으로 각종 공동복지프로그램 구축과 점검에 나섰다.
협업팀은 지난해 12개 부서·기관에서 총 17개 부서·기관으로 확대했다.
문화경제부시장을 총괄책임으로 시에서는 녹지정책과, 문화도시정책관, 대중교통과, 건강정책과를 추가해 일자리경제실장, 인공지능산업국장, 일자리정책관, 자동차산업과, 주택정책과, 노동협력관 등 12개 부서가 참여한다.
기관은 광주상생일자리재단을 추가한 한국토지주택공사, 광주도시공사, (재)광주경제고용진흥원, ㈜광주글로벌모터스 등 5개 기관이 참여한다.
올해 부서별 주요 협업사항은 ▲광주형일자리 부서·기관별 업무와 예산 공유 ▲업무추진 시 애로사항 및 문제점을 파악해 신속히 대처 ▲신규 업무 발생 시 현안에 대한 공동 해결책 모색 ▲사전 현장점검, 애로사항 청취 후 행정지원 대책 마련 등이며, 수요자 중심의 광주형일자리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조인철 문화경제부시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운 상황에도 ‘전국 제1호 상생형지역일자리’인 광주형일자리가 성공적으로 안착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지난해 광주형일자리 협업팀을 21회 운영해 공동직장어린이집 컨소시엄 구성 논의 및 운영비 전액 시비 지원 방침, 광주글로벌모터스 근로자 출퇴근 편의를 위해 선운 101번 시내버스 일일 66회 운영, 입주자격 심사 완료전 희망자 선 입주 후 심사조치 등 주거비 지원 관련 절차 개선 및 서류 간소화 등을 추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