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비타민

서울시, 올해 10만 가구에 수돗물 무료 수질검사…10일..
사회

서울시, 올해 10만 가구에 수돗물 무료 수질검사…10일부터 신청접수

고광섭 기자 입력 2022/03/10 11:01
비대면․야외 수질검사로 코로나19 확산 방지…가정집 등 대상 10월까지 운영

↑↑ 아리수 품질확인제 포스터
[서울_뉴스비타민=고광섭기자]# 20대 자취생 A씨는 요즘 부쩍 ‘플라스틱 제로’ 운동에 관심이 생기면서 페트병에 담긴 생수 대신 수돗물을 마셔보기로 했다. 하지만 막상 수돗물을 마시려니 오래된 건물의 수도관이 찜찜했고, 고민 끝에 무료 수질검사 서비스인 ‘아리수 품질확인제’를 신청했다. 수질검사 결과는 `적합`. 우리 집 수돗물 수질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나니 한결 안심하고 수돗물을 마실 수 있게 됐다.

서울시가 수돗물 무료 수질검사 서비스인 `아리수 품질확인제`를 10일부터 신청접수 한다. 올해 10월까지 8개월간 약 10만 가구의 가정집, 음수대 등에 대해 찾아가는 수질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수질검사 신청 가구는 물론 공원․학교․유치원․공공기관 등의 음수대, 아파트 노후 공용배관 및 옥내급수관 교체 가구 등의 수질을 검사할 계획이다.

`아리수 품질확인제`는 2008년부터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시행해 온 찾아가는 무료 수질검사 서비스로, 지난해까지 14년간 595만3천 가구 등에 대해 수질검사를 실시한 바 있다.

이중 급수환경 개선이 필요한 가구는 전체 검사 건수의 0.14%(14년간 8,297개소)에 불과해 수질검사 결과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아리수 품질확인제를 통해 수돗물의 안전성을 시민들이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것은 물론, 수질검사 결과를 분석해 각 가정의 수도관 상태 및 노후 수도관 교체비 지원에 대한 컨설팅도 시행하고 있다.

수질검사 결과 부적합 가구에 대해서는 낡은 수도관 교체, 물탱크 청소 및 수위 조절 등 맞춤형 컨설팅을 시행해 급수환경을 개선했다.

수질검사는 잔류염소, 철, 구리, 탁도, pH 등 5개 항목에 대해 실시하며, 검사결과는 현장에서 즉시 안내한다. 1차 검사결과 부적합시 2차로 7개 항목(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대장균, 아연, 망간, 염소이온, 암모니아성질소)에 대한 검사를 추가로 실시하고 원인진단 및 해결방안을 안내한다.

▴‘잔류염소’는 일반세균으로부터 안전성 여부를 ▴‘철‧구리’ 검사는 수도배관의 노후도를 ▴‘탁도와 수소이온농도지수(pH)’는 수돗물이 깨끗한 정도를 나타낸다.

시는 수질검사 과정에서 코로나19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비대면 수돗물 수질검사’를 실시해 시민 접촉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가정 방문 수질검사 시 수질검사원이 지급한 채수병에 시민이 직접 수돗물을 받아 건네주면, 문밖에서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안내한다.

불가피한 실내 출입 시, 수질검사원 2인 중 한 명만 출입하여 시민과 2m 이상 거리를 유지하는 등 방역지침을 준수할 예정이다.

구아미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서울의 수돗물 아리수는 상수도 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식품안전경영시스템(ISO22000) 국제 인증을 취득한 안전식품”이라며 “아리수 품질확인제를 통해 우리 집 수돗물 수질을 직접 확인하고, 안심하고 드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비타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