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시청 |
이번 대책은 대전시민에게 안전하고 고품질의 수돗물 생산을 공급하기 위해 대청호 상수원수의 조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조류 발생 시 신속하게 처리 하는데 중점을 뒀다.
대청호 조류는 6월부터 수온이 올라가고 장마철 총인, 총질소 등 오염물질 유입으로 해마다 흙·곰팡이 냄새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상수도사업본부는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환경기초시설 인공 식물섬, 인공습지, 수중폭기시설, 조류차단막시설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부이형 다항목 수질측정기 등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을 확대하고, 조류경보제에 따른 조류 처리 대책반을 운영해 수돗물 안정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특히, 조류 부산물인 Geosmin(지오즈민, 흙냄새)과 2-MIB(곰팡이냄새)는 정수장에서 분말활성탄을 적기에 투입하여 제거하고, 단계별로 추진하는 고도정수처리로 더욱 안전한 수돗물을 생산한다.
최진석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하반기 대청호 조류 발생 대비 상시 대응체계 구축으로 원수부터 정수까지 수질관리를 철저히 추진하여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전국 으뜸 수돗물 생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