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시민 치안정책 설문조사 |
이번 조사는 그간 경찰중심의 치안활동에서 벗어나 시민과 소통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시민 체감형 치안정책’을 발굴하고자 실시됐다.
조사 기간은 3월 6일부터 4월 5일까지 4주동안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됐으며, 대전시민 1,168명이 참여했다.
조사 내용은 ▶교통안전 ▶사회적약자 보호 ▶생활안전(범죄예방) ▶대전경찰의 치안정책 방향 등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분야이다
조사 결과 ‘대전지역이 범죄로부터 안전하다고 생각한다’는 항목에 대전시민 74.1%가 안전한다고 답변했으며, ‘사회적약자들이 범죄로부터 안전하다’는 59.7%, ‘교통사고로부터 안전한다고 생각한다’는 55.6%가 안전하다고 응답하는 등 긍정적인 답변이 많았다.
다만,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교통안전과 관련해서는 범죄안전도 및 사회적약자 보호 안전도 등 다른 안전도에 비해 대전시민들의 체감안전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세부 항목별로는 `교통안전 분야`에서 ‘교통사고 발생원인’으로 과속·신호위반(41%), 음주운전(30.6%)을 답변했으며, ‘교통 안전’을 위해서는 교통안전시설 개선(43.6%), 교통법규 위반 강력단속(36%)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아울러, ‘어린이·노인 등 교통약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보호구역의 시설개선(49.6%)과 ‘교통안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시설’로는 신호기·신호체계 개선(32.1%)을 각각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사회적약자 보호 분야`에서는 학교폭력·청소년 범죄(43.8%)를 가장 시급하게 근절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해서는 피해자 보호지원(49.6%)과 가해자 재발방지(42.1%)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생활안전(범죄예방) 분야`에서는 범죄에 취약한 지역으로 유흥지역(51.2%), 주거지역(46.6%), 공원지역(39.9%) 순으로 답변했으며, 범죄예방을 위해서는 범죄예방 시설설치(40.8%), 순찰강화(23.6%)가 가장 효과적인 경찰활동으로 응답했다.
끝으로, `대전경찰 치안정책 방향`으로는 순찰 및 범죄예방 홍보(38.9%), 신속출동 및 처리(26.2%), 교통안전 활동(25.8%) 순으로 답변하여 시민들은 경찰 접촉 빈도가 높은 치안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전경찰에서는 이번 설문 결과를 토대로 대전경찰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구체적인 시민들의 목소리를 담은 3대 약속 및 7대과제(붙임 참고)를 정하여 역점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정용근 대전경찰청장은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시민들의 경찰에 대한 기대와 인식을 파악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가 됐다’면서, ‘앞으로도 지역주민의 작은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 시민이 필요로 하는 정책추진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