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도의회 기경위 |
[뉴스비타민=백유나기자] 재 장비 분야 매출이 감소하는 서늘한 시기가 도래했는데, 도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현실에 근거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정우 위원(청양·더불어민주당)은 보조금 환수 문제에 대해 “60%만 고용된 기업들에 대해 환수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 졌는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또한 “RE100 예산 및 추진 현황을 보면 도의 의지가 부족한 것 같다”며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충남도가 더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마을 경로당 태양광 설치 사업에서 자부담 비율이 너무 높다는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며 “자부담 비율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제안했다.
김도훈 위원(천안6·국민의힘)은 “공공일자리 사업 대상은 확대됐지만, 정작 참여자는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총 사업비 41억 원 중 도비가 65%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인건비 상승이 참여자 감소의 주요 원인인지, 3개월이라는 짧은 근무 기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많은 도민들이 생계 안정을 위한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공공일자리 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참여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식 위원(아산3·국민의힘)은 기업 보조금 지급과 관련하여 “지역인재 채용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는데, 반납하는 기업도 있고, 지역인재 채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아 아쉽다”고 지적했다. 또한 “창조경제혁신센터 여러 사업 중에서 일부 사업은 충남경제진흥원이나 충남테크노파크에서 추진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은지 검토해봤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지민규 위원(아산6·무소속)은 “청년 기업의 기준이 세법과 도 조례에서 다르게 적용되고 있는데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소상공인 지원 사업에 대해 “현금성 지원 외에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서울시와 경기도 사례를 참고하여 충남에 맞는 사업을 개발해달라”고 제안했다. 한편 “충남의 착한 가격업소 지정 실적이 부진한데, 인센티브를 강화하여 더 많은 업소가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야 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