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자살 예방 및 생명존중 환경 조성을 위한 ‘생명존중 캠폐인’을 수행 중이다. |
각종 통계에 따르면 봄철인 3~5월에는 일조량 증가, 불면증, 졸업·구직 시기 등 다양한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자살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 장기간 이어진 코로나19는 주민들의 정신적·경제적·육체적 문제를 악화시키는 등 자살 증가의 위험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이에 중구는 자살고위험군의 발굴 및 관리, 자살고위험시기 자살예방 홍보, 자살예방 모니터링 등 지역사회 밀착관리를 통해 자살시도율 감소에 나선다.
우선 ▲ 경로당 이용 어르신의 우울선별겸사 ▲ 1인 가구 및 고시원, 취약지역 거주자, 소상공인 등의 우울 선별검사 ▲ 고위험군의 조기 개입 및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 ▲ 도움 받는 기관 안내 홍보물 부착 및 캠페인 등으로 자살고위험군을 발굴하고 관리한다.
또, ▲ 유관기관 연합 캠페인, 자살예방교육 등의 생명존중 문화조성 ▲ 자살다발지역에 예방 현수막 ‧ 포스터 게시, 홍보물 배부 ▲ 자살 고위험군에게 도움 받을 권리 문자 발송 등을 통해 자살고위험시기에 예방 홍보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 1인 가구에 찾아가는 마음건강선별검사를 통한 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연계체계 구축 ▲ 번개탄판매업소(희망판매소) 모니터링 등을 통해 자살수단에 대한 접근성을 차단한다.
중구는 가장 최근 조사한 2020년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자살 사망률 최저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중구의 자살 사망자 수는 인구 10만 명 당 16.5명으로, 서울 전체 평균인 22.5명과 전국 평균 25.7명 보다 월등히 낮았다. 특히 중구의 2016년 자살 사망률은 28.1명으로 불과 7년 사이에 이뤄낸 성과라서 더욱 의미가 깊다.
중구는 자살률 감소를 위해 `생명이음 청진기`, `생명지킴이` 사업을 꾸준히 진행해왔으며, 자살사망률이 높은 중장년을 위한 맞춤 프로그램도 운영해왔다.
서양호 중구청장은 ˝일반적으로 봄철에 자살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자살 고위험시기에 집중 관리를 통해 예방 및 생명존중 문화를 조성하고, 궁극적으로 구민의 자살사망률을 줄이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