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군의회는 30일 지방의회 개원 30주년을 기념하고, 진안군의회가 걸어온 발자취를 담은 ‘진안군의회 30년사’ 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 책은 1991년 4월 15일 제1대 진안군의회 개원을 시작으로 2..
김신웅 대전 서구의회 행정자치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지역사회발전과 평화통일 공감대 확산활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의장(대통령) 표창’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
대전광역시의회는 2022년 대전광역시의회 신년화두 사자성어를 집사광익(集思廣益) 으로 선정했다. 집사광익(集思廣益)은 ‘생각을 모아 이익을 더한다’라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지혜를 모으면 더 ..
최현주(정의당·비례) 전남도의원이 제1회 지방의회복지대상을 수상했다. 지방의회복지대상은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사회복지의 발전과 사회복지사의 처우개선 등을 위해 노력한 공로를 인정해?..
유수호 칠곡부군수가 29일 송별식을 갖고 40년 공직생활을 2021년 12월 31일부로 마무리한다. 유 부군수는 1982년 영덕군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해 1991년 경북도로 전입했다. 2016년 지방서기관으로 승진??..
경산시공무원노동조합에서는 29일 퇴직 예정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감사패를 전달했다. 노동조합은 평생을 공직에 몸담으면서 지역발전과 경산시민을 위해 헌신하다 영예롭게 퇴임하시는 선배 조합..
김형수 광주광역시 북구의회 의원(용봉·삼각·일곡·매곡동)이 광주 돈보스코학교로부터 교육 환경 개선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노력한 공로를 인정받아 감사패를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김 의원??..
광주 북구의회 진보당 소재섭 의원(용봉·삼각·일곡·매곡동)의 노동자의 권익 향상을 위해 펼친 의정활동이 빛을 발하고 있다. 소 의원은 지난 2019년 제252회 북구의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
박경신 광산구의원(더불어민주당, 신흥동·우산동·월곡1·2동·운남동)이 29일 광주광역시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 박경신 의원은 지난 10월 제268회 임시회에서 `광산??..
경상북도의회는 29일 도의회 세미나실에서 지난 1년간의 의정활동 성과 및 2022년 의정운영 방향에 대해 밝혔다. 2021년 경상북도의회는 ‘행복한 경북, 도민과 함께하는 의회’를 지향하며, 코로나1..
대전광역시의회 홍종원 행정자치원장(더불어민주당, 중구2)은 지난 28일 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사무실에서 목동현대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 관계자 및 시 도시개발과 재건축팀장과 간담회를 가졌다...
대전광역시의회는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과 관련해 규정 및 지침 7건을 제·개정하고 1건을 폐지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에 정비된 자치법규는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을 위한 법적 근거를 규정한 「지..
영주시의회와 영주시는 시의회 소회의실에서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에 따른 인사운영 등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방자치법’ 전부개정 법률이 내년 1월13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
전라남도의회는 올 한해를 코로나19 극복과 지역경제 살리기에 총력을 다 했고 일자리창출, 복지향상 등 도민 눈높이 맞는 의정활동을 펼쳤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도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
성주군의회와 성주군은 28일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의 안정적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내년 1월 13일 시행 예정인 지방자치법 전부 개정에 따라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 ..
성주군의회 김영래·배재만 의원이 12월 28일 성주군의회 본회의장에서 `의정봉사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의정봉사상`은 지방의회 발전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적극 의정활동을 펼친 ..
경상북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환동해권발전연구회는 28일 포스텍 중회의실에서 환동해권 시대 경북도 미래 발전전략과 환동해권 지자체 협력강화를 위한 `제3차 환동해권 상생발전 포럼`을 개최했?..
서울특별시 구청장협의회는 지난 12월 28일 아침 10시, 온라인 화상회의를 통해 제167차 정기회의를 개최하고 주요 공동현안을 논의했다. 이성 협의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전국의 사적모임 인원 제한 ..
코로나19의 확산이 심상치 않은 상황에서 전라북도의 보건의료정책을 총괄하는 보건의료과장을 행정직이 아닌 의사출신 또는 관련분야 전문가(보건직, 간호직 등)로 채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도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