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진상락 경상남도의원(국민의힘, 창원11) |
진상락 의원은 “현재 경남 중동부지역인 창원․김해․양산의 먹는 물 취수 수질은 3등급이다.”며, “수도권 취수원인 팔당댐의 물은 1급수이고, 타 지자체들도 깨끗한 상수원을 찾고 있는 상황에서, 경남도민들은 ‘취수원 인근에 발생한 녹조에 독성은 없는지’, ‘깔따구 유충은 없는지’ 타 시‧도민들은 걱정조차 하지 않는 문제들마저 걱정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현행 상수원 정책의 문제점을 제기했다.
이어 “현재 환경부에서 추진 중인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에 대해 환경부는 지역주민의 동의 없이 추진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주민들도 결사반대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취수원 이전사업의 조속한 추진은 어렵다.”고 말하고, “이제는 수십년간 반복했던 논의들을 기다리기만 해야 할 시점이 아니라 실행 가능한 대안들을 검토하고, 돌파구를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진상락 의원은 “환경부의 취수원 다변화 사업은 일일 90만톤 취수를 기준으로 약 1조7,613억원의 예산을 추정하고 있는데(환경부 예타기준 2022.6.30.), 경남도가 필요한 수량인 일 48만톤과 비슷한 용량인 사우디아라비아 해수담수화 플랜트(일 60만톤)의 수주금액이 약 8천억원임을 고려할 때 취수원 다변화 사업 대안으로 해수담수화 사업이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해수담수화사업은 연평균 5.7%로 성장하고 있는 산업이고, 해수담수화 시설을 경남에 구축하게 되면 지역기업에는 관련 기술 축적 및 경쟁력 확보 및 신규일자리 창출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