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광역시의회 윤태한 의원 |
관련 예산 또한 2020년 2천만원에서 2021년 360만원, 2022년 357만원으로 85% 삭감됐음을 지적하고, 마약류 폐해 근절을 위한 마약류 중독 치료지원을 위한 공적 체계 강화 및 운영 활성화를 부산시에 강력히 촉구했다.
또한 윤의원은 2020년 전체 마약류사범 중 20∼30대가 49.9%를 차지하는 등 젊은층 마약류범죄의 심각성을 지적하고, 특히 향정신성의약품 일명 신종마약에 대한 중독이 심각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마약류사범의 65%가 향정신성의약품 일명 신종마약류사범인 상황임에도 마약류에 대한 인식은 필로폰과 같은 좁은 의미로만 잘못 인식되고 있어 향정신성의약품에 대한 경각심을 해이하게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음주, 흡연예방 교육처럼 마약류 및 약물중독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 교육 강화, 마약류 폐해 관리와 안전관리 대책 강화를 부산시에 강력하게 촉구했다.
끝으로 윤 태한 시의원은 마약김밥, 마약옥수수등 마약마케팅 중단을 위한 방안 마련을 부산시에 촉구했다
최근 마약김밥, 마약옥수수, 마약떡복이, 마약베게등 너무 맛있어서, 너무 좋아서 자꾸 먹게 되고 사용하게 된다는 의미로 마약이 마케팅용어로 사용되고 있는 현실임을 언급하며,
마약마케팅을 통해 마약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과 경각심을 낮추어, 심리적 방어선을 낮추는 결과를 만들고 있다고 밝히고 마약마케팅 금지를 위한 대책 수립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