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특별시의회 왕정순 의원 |
왕 의원은 10일 열린 노동공정상생정책관 행정사무감사에서, “화재공제보험 가입 지원사업을 통해 작년과 올해 149개 시장 3,338개 점포가 추가로 혜택을 받게 됐다지만 이 중 39.6%에 달하는 59개 시장은 한 자릿수 점포가 추가되는 데 그쳤다”고 비판했다.
또한 “서울의 전통시장은 특성상 좁은 지역에 밀집한 곳들이 많아 화재 위험에 매우 취약하다”며, “전기 사용량,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와 규모 등에 따라 업종별 화재 위험도를 지표화하고 위험도가 높은 곳부터 화재공제보험에 우선 가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보험 가입 시 자부담 비율을 줄이거나 시장현대화 사업 등 공모사업 시 화재공제보험 가입률을 기준에 포함시키는 등의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며, “전통시장 화재 중 42% 가량이 전기적인 요인으로 발생한다는 점에도 착안해 121개 시장을 선정, 전기와 가스 점검도 실시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왕 의원은 “지난 5년간 발생한 화재 중 19건이 전통시장에서 발생했으며 특히 2월에 집중됐다”며, “화재공제보험 가입 독려는 물론, 실제 화재 발생 시 대응 매뉴얼이나 협력 체계를 미리 검토하여 안전한 겨울철 전통시장 환경조성이 이뤄질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