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주지역 농촌 인력난 해소에 민·관·학 함께 나선다 |
농촌 고령화 등으로 매년 인력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농가를 위해 행정과 농협, 대학 등이 협력해 도내·외 유·무상 인력 및 외국인 근로자 등을 최대한 확보하고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파종(정식) 시기보다는 영농 기계화가 어려운 수확시기에 인력 수요가 급증하므로 영농시기에 맞춰 탄력적으로 인력을 지원할 계획이며, 농번기 인력수급 상황을 총괄 관리하는 농업인력지원 종합상황실도 운영한다.
올해 유·무상 인력공급 계획은 지난해보다 23% 증가한 4만 1,000명을 목표로 삼았다.
우선 농촌인력을 가장 활발하게 공급하고 있는 농협중앙회 제주본부의 ‘제주농업인력지원센터’를 통해 최대 3만 명*의 유·무상 인력을 공급한다.
지역맞춤형 인력공급 사업인 ‘농촌인력지원센터’와 ‘공공형 계절근로사업’을 통해 연간 5,000명을 농가와 직접 연결·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도내 대학생의 농촌 봉사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대학생 농촌사랑봉사단’을 통해 1,000명의 봉사자가 참여하는 농촌체험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이와 함께 지난 3월 29일 제주도와 베트남 남딘성 간 계절근로자 도입 업무협약(MOU) 체결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를 농가 등에 배정할 계획이며, 도내 군부대 장병들도 필요한 시기에 투입된다.
특히 5월 마늘 수확철을 맞아 농협중앙회 제주본부와 함께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농가를 대상으로 도내 주요 기관·단체, 군부대, 자원봉사단체 등이 ‘농촌과 함께하는 일손돕기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한다.
제주도와 농협중앙회 제주본부는 지난해 5월 마늘수확시기에 4,528명의 무상인력을 지원한 바 있으며, 올해는 10% 상향한 5,000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마늘수확 등 농촌일손 돕기 참여를 희망하는 단체는 5월 17일까지 ‘제주농업인력지원센터’로 신청·접수하면 된다.
일손돕기를 실시할 경우 버스임차료, 중식비, 안전보험 가입, 작업용품(장갑 등)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문경삼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이번 인력수급 대책이 인력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공공형 계절근로사업과 농촌인력중개센터 등 확대 운영을 통해 농촌인력 수급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