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원특별자치도의회, 폭염대책, 사회적 재난으로 인식해야[사진=강원특별자치도의회] |
행정안전부가 지난 8월1일 오후6시 부로, 2019년 이후 4년 만에 폭염 위기경보 수준을 가장 높은 `심각` 단계로 격상된 가운데 각종 언론에서 제기하는 강원특별자치도 내 ‘무더위쉼터’의 부실한 운영 및 관리,‘안전디딤돌 안내 부실’, ‘물놀이 안전관리요원’의 자격증과 노령화 문제 등에 대한 실태조사와 대책 마련을 함께 촉구했다.
또한 “연일 계속되는 열대야와 폭염으로 인해 온열질환자수가 이미 작년 수준을 넘어 급증하고 있는데, 재난취약계층 및 취약시설 등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라”고 당부했다.
`심각` 단계는 전국 180개 특보 구역의 40% 이상인 72개 이상 지역에서 일 최고체감온도가 35도 이상인 상태가 3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또는 10%인 18개 이상 지역에서 일 최고 체감온도 38도 이상인 상태가 3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발령된다.
폭염으로 심각 경보가 발령된 것은 2019년 이후 4년 만이다. 또한 행안부는 앞서 지난 7월 1일자로 폭염 위기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