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광주광역시청 |
앞서 광주시는 지난해 ‘광주예술인 실태조사’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인 실정, 창작활동 어려움, 예술인 권리보장에 대한 사각지대 등 실질적인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했다.
이어 지난 12월 확대한 광주문화재단 예술인 보둠소통센터 내에 예술복지 전담팀을 구성하고 단순히 단발적인 지원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맞춤형 사업을 발굴해 창작 환경을 개선하기로 했다. 또 예술인의 복지, 권리와 권익 등 다각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기존 예술인 복지창구를 스트레스 상담·치유, 창업·창작·권익보호에 관한 행정·법률·노무·복지·의료·심리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지원해 소통창구를 확대한다.
창작·기획, 세무·회계, 단체설립·창업 분야는 전문가와 1 대 1 맞춤형 전문 컨설팅을 통해 필요한 정보와 맞춤형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예술상담실 ‘ON:곁에’를 정기 운영한다.
이 사업은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추진한 결과 예비예술인 및 신진예술인 등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예술인들의 만족도가 높아 본격 추진한다.
이 밖에도 광주 예술인들의 활동 역량 제고를 위해 ‘광주예술인 아카데미’를 새롭게 운영한다. 아카데미는 예술인 권익보호교육. 커리어 창업교육, 후원매개양성 등 교육프로그램으로 예술인들의 기본역량과 자립성, 공공지원 접근성 제고에 요구되는 역량을 강화시킬 예정이다.
예술인 복지의 체계적인 증진과 실효성 있는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3개년(2023~2025) 광주 예술인 복지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지난해 말 구성된 ‘예술인 지위와 권리보장을 위한 민관협치 태스크포스(TF)’ 운영으로 올해 9월 ‘예술인 지위와 권리의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조례 제정안 마련을 통해 보다 실효성 있고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예술인 권리보장 정책 발굴을 이어나간다.
김준영 시 문화관광체육실장은 “지난해까지 지역 예술인을 대상으로 다양하고 폭넓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반을 다져왔다”며 “앞으로 체계적인 정책 추진을 통해 예술인 복지 서비스를 더욱 확대하고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