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 |
서울시는 2018년부터 빈집 1천호를 매입해 청년·신혼주택 4천호를 공급하겠다는 목표로 정책을 추진해왔으나, 전수조사 결과 서울시 내 빈집이 2972호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확인 후 2021년 2월 빈집 매입 목표를 5백호로 대폭 축소했다.
박 의원은 “서울시는 지역 배분이나 매입 후 사용계획 등은 고려하지 않고 공급 목표를 채우기 위해 빈집을 사들였다”며, ‘빈집이 가장 많은 용산구(352호)에서는 13호만 매입하고, 빈집이 가장 적은 금천구(10호)에서는 14호를 매입한 것이 그 증거’라는 주장이다.
또한, 20억 원이 넘는 고가의 빈집들까지 매입했으나 당초 활용 계획과 달리 수년째 공터로 방치되고 있는 사례들을 제시하면서, 서울시의 개입이 오히려 지역의 주거환경 개선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구체적인 활용계획이 없어 매입 후 활용되지 않는 빈집만 120호(총 매입 빈집의 30%)로 이에 든 매입비만 444억 원이 넘고, 매입 빈집에 부과되는 재산세만 4년간 3억 7천만 원을 초과하는 등 서울시는 공급 성과만 중시한 빈집 정책 추진으로 불필요한 행정력과 예산을 낭비했다”고 비판했다.
박석 의원은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개정에 따라 빈집 관리에 대한 자치구와 개인의 책임이 커진 만큼, 서울시 차원의 빈집 매입은 중단하고 매입 후 방치 중인 빈집 활용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