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남 문화재자료 제108호 `읍리 하마비`, `완도 청산도 석조 보살 좌상`으로 명칭 변경 |
고려 말~조선 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완도 청산도 석조 보살 좌상`은 당시 석비 하단에 ‘하마비’라고 시멘트로 새긴 것이 그대로 문화재 명칭이 됐으나 문화재 특징을 명칭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군은 ‘문화제 제 이름 찾기 사업’을 추진했다.
하마비(下馬碑)는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려 경의를 표하라는 의미를 지닌 석비(石碑)이다.
군은 지난 1월부터 관련 문서 및 자료 검토, 문화재 전문 위원과 향토사학자들에게 자문을 구하고, 5월 전라남도에 문화재 명칭 변경 신청서를 제출하여 지난 8월 3일 명칭 변경이 가결됐다.
청산면 읍리에 있는 `완도 청산도 석조 보살 좌상`은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해 세워졌으며, 높이 100cm, 폭 70cm, 두께 15cm로 민간 신앙과 불교가 결합한 신앙 물로 평가받고 있다.
앞면에는 보살상이 새겨져 있는데 머리에는 보관(寶冠)이 표현되어 있으며, 세워진 시기는 고려 말 또는 조선 전기로 추정된다.
청산도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고려 시대로 알려져 있으며, 혜일(慧日) 스님이 청산도에 절을 짓고 살았다고 하는데 그 위치와 사찰 명칭에 대한 기록은 없다.
조선시대 때 제주도 사람 장한철(張漢喆)이 한양을 가다가 바다에서 표류한 일을 기록한 `표해록(漂海錄)`에 ‘바다에서 조난을 당한 후 1771년(영조 47년) 1월 6일 청산도에 도착하였다.
1월 9일 섬을 둘러보다가 ‘용왕당’에 가서 석불(石佛)을 봤다’라고 기록돼 있는데, 이 석불이 `완도 청산도 석조 보살 좌상`으로 추정된다.
군 관계자는 “군에는 국가 지정 12개, 도 지정 13개, 군 지정 21개 등 총 46개의 문화재가 있다”면서 “앞으로 문화재를 더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