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이 제21회청보리축제를 앞두고 지난 4일 군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안전관리위원회를 개최했다. 김철태 부군수 주재로 관련 부서장 및 유관기관 등 15명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
고창문화관광재단이 지역을 찾은 일본여행업협회(JATA) 방문단에게 고창풍천장어를 알리고, 관련 여행상품 개발을 위해 구슬땀을 흘렸다. 재단에 따르면 지난 11일 일본여행업협회 워킹그룹이 고창??..
고창군이 ‘대산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 공사를 본격 착공해 현재 순조롭게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산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은 깨끗하고 청결한 주거환경 조성과 대산천의 오염방?..
고창군이 12일 청년창업형 후계농업경영인들의 안정적인 영농정착을 위해 관, 농협, 선배농업경영인 등 250여명이 참여해 ‘고창군 청년농업인 영농발대식’을 열었다. 청년농들이 고창군에 안정적?..
고창군이 농업정책 발전을 위한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듣기 위해 지난 11일 고창군 농업정책자문단 회의를 열었다. 고창군 농업정책자문단은 농업 분야에 대한 다양한 학식과 경험을 보유한 농업??..
고창군이 12일 공음면 선산마을 위령탑 광장에서 한국전쟁 당시 무고하게 희생된 1700여명의 양민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제74주기 위령제를 봉행했다. 위령제는 6.25양민희생자 제전위원회(위원장 양완..
고창군은 ‘고창 칠암리 용산고분’이 지난 3월25일 2024년도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위원회(1분과) 지정 검토 심의를 통해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전북특별자치도 지정유산인 기념물로 12일 ??..
고창청보리밭축제장은 지금 청보리가 겨우내 얼어있던 대지를 녹이고 초록빛 얼굴을 내밀고 있다. 30만평의 광활한 대지에 초록빛으로 물들인 청보리가 관광객을 향해 손짓하고 있다. 대한민국 대표 ..
고창군이 11일 군청 2층 회의실에서 심덕섭 고창군수와 마을이장 16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장자녀 장학금 수여식을 열었다. 올해 이장자녀 장학금은 이장 자녀로서 품행이 단정하고 학교생활이 모범??..
사춘기 자녀와 함께 숲속을 걷고, 다양한 놀이를 하며 가족 간 사랑을 다지는 프로그램이 진행돼 큰 호응을 얻었다. 고창군 가족센터는 지난 10일 선운산 유스호스텔에서 다문화 청소년 10명, 부모 10..
“도보권 내에 최고수준의 주민복지·문화시설 구축으로 군민행복도 끌어 올릴 것” 심덕섭 고창군수가 고창읍의 주요공공시설 건설 현장을 찾아 공정률 등을 점검하며 군민 문화여가 증진 계획을 ..
고창군도서관이 2024년 도서관의 날과 도서관 주간을 맞아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으로 군민들을 맞이할 준비에 분주하다. 도서관 주간(4월12 부터 18일)은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해 한국도서관협회가 ..
(사)무장읍성보존회가 오는 13일부터 매주 토요일 5차례에 걸쳐 고창군 무장현·관아와 읍성에서 ‘동학농민혁명의 현장, 무장읍성을 가다!’라는 주제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문화재청..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이 9일 군청 2층 상황실에서 국제교류사업의 일환으로 추진중인 청소년외교관 29명에 대한 위촉식을 진행했다. ‘청소년외교관’은 고창군과 국제자매우호도시인 중국 조장??..
고창군가족센터가 결혼이민자 한국사회 정착지원의 일환으로 ‘운전면허 취득지원 사업’을 통해 4명의 합격자를 배출했다. 아이가 아파 병원에 급히 가야할 때, 무거운 장을 보고 집에 들어가야 할 ..
고창군과 상주시가 지역상생발전 도모를 위해 고향사랑기부금 400만원을 상호기부했다. 이번 기부에는 고창군 인재양성과와 상주시 총무과, 아이여성행복과, 여성단체협의회 등 총 40명이 참여했다...
고창군은 지난 8일 여름철 자연재난으로부터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2024년 여름철 자연재난 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심덕섭 고창군수 주재로 고창군청 내 16개 협업부?..
(재)고창식품산업연구원은 탄소중립 및 무탄소에너지 전환 시대의 도래와 고창을 주제로 한 『정책․이슈브리핑』 제3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서 연구원은 ˝글로벌 차원에서 탄소중?..
고창군은 주식회사 빅컴의 김승겸 총감독이 고향사랑기부금 최고 한도액인 500만원을 기탁해왔다고 9일 밝혔다. 김승겸 총감독음 고향사랑기부제 최고 한도액인 500만원을 기탁해 2024년 첫 최고 한도..
고창군 공동육아나눔터가 2019년 11월 개소이후 일시돌봄, 상시돌봄, 돌봄품앗이, 공간 이용 활성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고창군 공동육아나눔터의 상시돌봄은 맞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