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라남도의회 보건복지환경위원회, ‘자립준비청년 지원강화 나선다’ |
이날 간담회는 최근 광주광역시에서 사회에 첫발을 내디딘 자립준비청년 2명이 경제적 어려움과 외로움 등으로 삶을 포기하는 비극이 발생한 것과 관련해 전남의 자립준비청년 지원정책을 점검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라남도 김종분 여성가족정책관은 “자립준비청년의 온전한 자립을 위해 자립정착금 1천만 원, 대학입학준비금 150만 원, 자립수당 월 35만 원 등 경제적인 지원과 함께 전담자립기관에서는 진로상담과 취업 등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럼에도 도가 관리하는 자립준비청년 725명 중 232명(32%)이 연락 두절이고, 자립성공률도 50% 미만이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 최초로 자립준비청년 자립실태 및 욕구조사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설명을 청취한 의원들은 자립준비청년 지원 강화를 위한 자기계발 학습비 지원,고령 조부모 가정위탁 지원, 생애 주기별 지원정책 강구, 사회안전망 형성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자립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 김호진 의원(더불어민주당, 나주1)은 “보호아동 단계부터 자기계발을 위한 다양한 교육지원이 필요하다”며, “아이들이 평등한 출발선에서 자립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학원비 등 교육비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미숙 의원(더불어민주당, 신안2)은 “가정위탁의 경우 조부모가 보호아동의 양육을 책임지고 있는 사례가 절반 이상으로, 고령 조부모의 경우 아동교육에 대한 부담이 클 것이다”며, “이러한 상황을 면밀히 분석해 지원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최선국 위원장은 “심리․정서적 지원, 생애 주기별 지원정책, 사회안전망 형성 등 종합적이고 세심한 대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용역추진에 최선을 다해 달라”며, “용역의 중간 추진결과도 위원회와 공유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위원회 차원에서 아동복지시설과 자립전담기관 등을 방문해 종사자와 아이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토론회도 마련하겠다”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관련 조례안 등을 마련해 자립준비청년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환경위원회가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