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모두 함께하는 세계인의 날 행사 포스터 |
# “베트남, 중국 학부모님이 센터 앞에서 자녀가 자국 문화를 배우는 것을 보고 뿌듯해하셨어요. 어떤 학생은 유럽여행을 다녀왔는데 센터에서 그 나라 강사분을 보니 친근하다고 하더라고요. 서울시에서 이처럼 좋은 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서울시 문화다양성 교육’ 참여 기관(금호대우아이꿈누리터) -
다가오는 토요일(5.20.), 세계의 다양한 전통문화를 한 곳에서 체험해보는 이색 행사가 열린다. 긴 대나무 막대를 이용한 필리핀의 전통 춤 ‘티니클링’을 배워보고, 모로코의 전통간식인 말린 대추야자를 맛보고, 페루의 전통의상인 판초를 입고 인증샷을 남겨보는 건 어떨까.
서울시가 ‘문화다양성 주간’(5.21.~26.)을 맞아 20일(토) 모두의학교(금천구 소재)에서`모두 함께하는 세계인의 날`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문화다양성 주간’을 기념해 여는 첫 행사로,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고 문화다양성을 이해하고 싶은 시민과 지역주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문화다양성 주간’은 국제연합(UN)이 정한 ‘문화 다양성의 날’(5.21.)부터 1주간(5.21.~26.)이다. 2001년 제31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세계 문화 다양성 선언이 공식 채택·발표된 이후 2002년 유엔(UN)은 국제사회의 다양한 갈등 극복을 위한 문화 다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5월 21일을 `세계 문화 다양성의 날`로 제정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페루, 멕시코, 일본, 필리핀, 모로코 등 세계의 전통의상, 악기, 게임, 간식 등 풍성한 문화를 체험해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일본의 전통음식 타코야키 만들기 배우기와, 대만, 필리핀, 베트남 강사들이 들려주는 `물고기에 숨겨진 진실` 동화 강연도 열린다.
‘문화다양성 주간’ 행사는 서울시가 200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문화다양성 사업’의 하나로 열린다. 한국에 오랜시간 거주해온 외국인주민들이 강사로 나서서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다양성을 알려주는 내용이다. 현재는 베트남, 멕시코, 스위스, 페루 등 25개국 38명의 외국인 강사가 활동 중이다. 교수, 학교 다문화 강사, 글로벌기업 회사원 등 다양한 분야의 외국인 주민들로 구성됐으며, 지난 2월 위촉됐다.
서울시는 청소년 글로벌마인드 함양을 위해 지난 2008년부터 ‘문화 다양성 사업’을 시작, 16년간 추진해오고 있다. ▴공무원대상 다문화 이해교육 추진(2013년) ▴일반시민 대상 문화다양성 교육 확대(2017년) ▴문화다양성 전문강사 양성교육 실시(2018년) ▴외국인·다문화 관련 업무 공무원 대상 심화교육 추진(2019년) ▴문화다양성 표준강의안 개발 추진(2020년) ▴찾아가는 문화다양성 교육 동영상 제작(2021년) ▴시리즈 특화 문화다양성 교육 신설(2022년) 등이다.
또한, 사회복지, 인권, 문화다양성, 철학, 이민정책 등 분야별 전문가를 모시고 공무원·일반시민 대상 교육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지난 16년 간 어린이·청소년 대상 11,704회, 505,204명 교육실시, 공무원·일반시민 대상 133회(12,169명) 교육하는 등 국민과 재한외국인이 서로의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면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문화다양성 주간을 맞아 세계의 전통문화를 체험하며 문화다양성의 가치를 배워볼 수 있는 특별한 행사를 준비했다.”며 “서울시는 2008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문화다양성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우리 청소년들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글로벌 사회의 세계 시민으로서 글로벌마인드를 갖출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서울에 사는 외국인과 귀화시민들이 서울시민의 일원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