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교육청, 잊혀진 교육사료 수집 행보 눈길 |
부산광역시교육청은 오는 10월 말까지 개인과 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 부산교육 관련 교육사료를 수집하는 ‘서랍 속 보물의 재발견’사업을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이 사업은 사라져가는 부산교육 관련 기록물을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정리ㆍ보존하고, 학생과 시민들의 교육을 위한 정신적·문화적 자산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부산교육청은 1970년대 이전 부산교육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한다. 수집 자료는 ▲개항기, 근대화,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관련 교육 자료 ▲학교를 중심으로 한 독립운동, 민주화운동, 학생운동 관련 자료 ▲학교교정, 수업, 소풍 등 학창 시절 사진 등이다.
부산교육과 관련 있거나 일부 내용이 포함된 ▲공문서, 교과서, 신문 등 종이류 ▲인물 및 주요 행사 관련 사진, 동영상, 앨범 등 시청각류 ▲ 표식, 배지, 깃발, 기념품 등 박물류를 수집한다.
특히, 동래여중 등 100년 이상 된 학교의 사료를 중점적으로 수집할 예정이다.
기증 희망자(기관)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부산교육청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신청서 서식을 내려받아 작성한 후, 우편 또는 전자우편으로 접수하면 된다.
한동인 시교육청 관리과장은 “이번 사업은 앞으로 개관할 부산교육역사체험관을 체계적인 교육사료 보존과 세대 간 공감을 위한 교육역사 체험공간으로 만드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며 “사료 기증에 시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교육청은 기증된 사료들을 2023년 개관 예정인 ‘(가칭)부산교육역사체험관’에 기록유산으로 보존할 계획이다. 또, 이들 사료를 기획 전시, 체험 콘텐츠 제작, 세대 간 공감 교육 자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