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라남도의회 김문수 의원 |
김문수 의원은 “지난 7월,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가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를 정식 인가하면서 전 세계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계획이 공식 확정됐다.”며 “이르면 내년 말부터는 우리나라도 오염수 영향권에 포함될 것이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다량의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일본 원전 오염수는 다핵종제거설비(ALPS) 처리 후에도 유전자 변형과 각종 암을 유발하는 3중 수소(트리튬), 코발트60 그리고 세슘137 등은 걸러지지도 않는다.”며 “더 큰 문제는 오염수가 언제 얼마만큼 영향을 줄지를 다룬 국내 과학적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오염수를 전부 바다에 내다 버리는 데는 약 30년이 넘게 걸리는데 이렇게 오랜 기간 우리 국민이 불안에 떨게 된다면 수산물에 대한 안전 우려 확산으로 수입 수산물이 우리 식탁을 점령하게 될 것이고, 결국 전남의 수산업은 그야말로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다.”고 우려했다.
전남은 전국 수산물 생산량의 58% 이상을 차지하는 수산물 생산 전국 1위 지역으로 생산액은 3조1천억 원에 달하며 김, 전복, 미역, 톳 등은 전국 수산물 수출액 1위이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초기 우리 정부에서는 철저한 통관검사로 수산물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했지만, 수산물 소비는 격감했고, 심지어 4~5천 원 하던 소금 20kg 1포가 7만 원까지 폭등하는 등 수산물 불신이 소비 급감으로 이어져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
김문수 의원은 “아직까지도 어업을 제대로 재개하지 못하는 후쿠시마 어업계의 위기는 곧 우리 전남 수산업의 미래 모습이 될 수 있다.”며 “우리나라 수산업 경제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해 국가적인 차원의 적극적인 대처와 함께 전남에서도 수산물 소비대책을 마련하고 이를 총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TF팀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수출이 막혔을 때 대책과 함께 전남 수산업 보호와 안전한 먹거리 제공을 위해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