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오세훈 시장에게 시정질문하는 김형재 의원 |
김 의원은 오세훈 시장에게, 신월 빗물저류시설은 1,892억 원을 투입, 32만 톤 규모로 2019년에 준공되어 이번 집중호우 시 거의 침수피해가 없었으나 강남역 일대는 대심도 빗물터널은 짓지 않고, 용허리공원 빗물저류조 설치, 역경사 관로 개선, 반포천 유역분리 터널 등에 예산 1,716억 원이나 분산 투입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김 의원은 앞으로 서운로 배수로 신설 예산 등 400억 원이 더 투입 총 2,119억 원이 소요될 예정으로 당초 2011년도 계획했던 강남 대심도 빗물터널 사업비가 1,317억 원이었으나 예산을 800억 원이나 더 썼는데도 배수터널은 없고 강남역 일대는 침수되어 고귀한 인명피해까지 발생됐다. 외신에서도 ‘싸이의 강남스타일 물에 잠기다’ 라고 보도되는 등 수도 서울 이미지 실추가 상당했는데도 아무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강남 대심도 빗물터널을 올 하반기에 실시 용역을 착수하더라도 공사기간이 5년 이상 소요되는 점을 감안할 때 지난 8월 8일 호우 시 강남역 일대와 역삼초교 사거리, 논현동 일대, 대치역 일대 등 침수 피해 심각 지역에 이번과 같은 집중호우 시 예상되는 침수 재발 방지 대책을 주문했다.
이에 대해 오세훈 시장은 “강남역 일대의 피해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하며 설계가 변경된 것은 전문지식을 과신했던 일부 사이비 전문가들의 여론 호도로 인해 잘못 인용된 만큼 책임을 느껴야 하며 앞으로는 시장이 바뀌더라도 지속 가능한 정책이 되어야 한다”고 답변했다.
덧붙여 오 시장은 강남 대심도 빗물터널 공사 기간 중 우려되는 침수방지 대책으로 반포천·사당천 하천 준설, 사평·서초 빗물펌프장 노후 펌프 교체, 노후 하수관로 교체 통수 개선, 주택·상가 침수방지 시설 확대 보급 등의 대책을 수립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제현 행정2부시장은 김형재 의원 질의내용의 답변을 통해 이번 수해 시 문제가 됐던 맨홀 대책으로 맨홀 1만 개에 추락방지 시설을 부착하고 ‘신규 맨홀 설치 시 관리 강화 장치 의무화’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했으며, 침수가 예상되는 근린상가 건물, 소형상가 등의 지하층·지하주차장 입구에 차수문 설치 비용을 서울시가 지원하는데 동의했고, 주택 지하층 차수판 설치 비용을 지자체에서 지원 중이나 홍보가 미흡하여 설치하지 못해 피해가 속출한 데 대해 일선 구청과 동주민센터를 통해 적극적인 홍보를 하여 올해 중 8,500여 가구에 설치완료하겠다고 답변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강남 대심도 빗물터널 공사를 조기 착공할 수 있도록 결단하여 주신 오 시장님에게 감사드리며, 차질없이 가용예산과 자원을 최대한 투입하여 조기 완공해 주시기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