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 조성은 비교적 발길이 잘 닿지 않는 본교 화단뒷쪽 바닥에 전통학습놀이 그림을 그려 학생들의 놀 권리를 증진하고 활력 있는 학교생활을 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그림은 숫자, 동물 등을 이용한 팔자놀이, 달팽이놀이, 사방치기 등의 전통놀이와 가위바위보, 신발던지기 등의 수학놀이를 그렸다.
놀이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유용한 교육적 도구로 활용됐다는 점을 착안해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놀이 위주로 그림이 완성된 것이다.
이번 전통학습놀이 공간 조성으로 평범하고 밋밋했던 공간이 학생들이 좋아하고 행복할 수 있는 놀이터이자 생기 있는 교육공간으로 바뀌는 눈부신 변화를 이루었다.
이영관 교장은 ˝다양한 색으로 채색된 생동감 넘치는 공간에서 학생들의 넘치는 에너지를 마음껏 발산하고, 나아가 그 공간을 아이들 스스로 놀이 방법과 규칙을 만드는 창의적인 놀이터 공간으로 확장되기를 기대해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