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해남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선제적 대응 |
야생멧돼지가 감염원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2019년 강원도에서 최초 발생이래 지속적으로 남하, 최근 경북 상주까지 감염이 확인되고 있는 상황이다.
질병관리원에 따르면 야생멧돼지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남하속도는 지난해 5월에는 1개월에 약5㎞정도였지만 지금은 약28㎞로 속도가 빨라져, 이 상태라면 연내 바이러스가 전국으로 확산이 우려된다.
이에따라 해남군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선제적 대응를 위해 방역시설 설치 등 양돈농가에 지속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다.
각 농가별 맞춤형 방역시설 설치를 위한 컨설팅비 지원을 비롯해 방역인프라 지원사업을 통해 CCTV설치나 소독 및 세척 시설․장비 등 방역시설 설치 지원을 실시한다. 컨설팅비 지원은 농가당 200만원 한도내에서 총 4,000만원이 투입되며, 방역시설 지원에는 5억 3,100만원(자부담 2억1,200만원)이 투입된다.
아울러 소독약품 약 1톤을 양돈농가에 배부했으며, 농장 입구 차단방역을 위한 생석회 약 6.3톤, 야생멧돼지가 양돈농장 가까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야생멧돼지 기피제를 490포를 지원해 차단방역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축협 협조 하에 공동방제단을 운영하여 양돈농장 입구 소독을 주 2회 이상 실시하고 있다.
군은 2019년 야프리카돼지열병(ASF)의 최초 발생 이후 연중 거점소독시설을 운영하여 양돈농장 출입 전에는 반드시 소독을 실시하고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아프리카돼지열병 대책 상황실도 상시 운영하고 있다.
대한한돈협회해남군지부와 지난 3월부터 협의체를 구성,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 방역을 위한 방역시설 설치 지원 및 방역대책에 관해 지속적으로 농가의 협조를 구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최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양돈농장 발생 미흡 사항에 대해 관내 양돈농가에 최대한 정보 공유를 실시, 사전에 보완하여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